terning2 특명! 업데이트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라! 들어가면서,안녕하세요! 터닝 팀의 안드로이드 개발자 이석준입니다. 앱을 개발하다 보면 잦은 버그 수정이나 기능 개선, 대규모 업데이트 등 다양한 이유로 새로운 버전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게 됩니다. 업데이트가 이뤄진 이후에도 이전 버전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도 있는데요. 이 경우, 최신 버전에 맞춰 개선된 서버나 기능과의 불일치로 인해 앱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아예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결국 사용자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빠르게 업데이트를 안내하는 방식이 중요합니다! 많은 서비스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앱 실행 시 ‘업데이트 안내 팝업’을 띄우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빠르게 업데이트 소식을 전달할 수 있고, 운영자가 의도한 흐름대.. 2025. 6. 28. 스테이징 서버와 운영서버를 나누어 CI/CD 구축하기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서버 파트 정정교입니다. 팀 블로그의 글을 어떤 식으로 작성할 지 많은 고민을 했는데요. 제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새롭게 배운 내용이나, 트러블 슈팅 등을 정리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나중에 방향성이 조금은 바뀔 수 있지만, 앞으로 최대한 우리의 경험을 되짚어보고 해결해나가는 과정 속에서의 이야기를 들려드릴 예정이에요! 오늘은 스테이징 서버와 운영서버를 분리하면서 팀원들과 함께 학습한 내용들과 트러블 슈팅에 관한 이야기를 들고왔습니다. 보통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서버파트 내에서 사용한 배포방식은 feat 브랜치에서 api 작업을 진행하면서 develop 브랜치에 PR을 올려 merge하고 어느정도의 api가 모이면 바로 main 브랜치로 push 보내는 방식을 사.. 2024. 8. 30. 이전 1 다음